경기도 농어민 기회소득은 농어민이 식량생산, 환경보전 등 사회적 가치 창출 활동을 수행함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정책입니다. 민선 8기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제도로, 농어민의 안정적인 생활을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
다음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 가능합니다.
-경기도에 거주하고, 농업 또는 어업 활동을 하는 자
-경영체 등록이 되어 있을 것
-청년 농어민: 만 19세 이상 ~ 50세 미만, 경영체등록 기간 등이 기준됨
-귀농·귀어인: 전입·전업 신고일 기준 5년 이내
-환경 농어민: 친환경 인증, 동물복지 축산, 가축 행복 농장, 명품 수산물 등 기준 충족자
-일반 농어민: 위의 유형 이외의 농어민으로, 소득·거주 조건 등이 심사 대상임
-경기도 내 연속 거주 또는 비연속 거주 조건, 영농·영어(농업·어업) 활동 기간 등이 요구됨
-농외 소득 기준: 일정 기준액 이하일 것 (예: 연소득 기준)

https://farmbincome.gg.go.kr/main
경기도 농어민 기회소득 통합지원시스템
농어민 기회소득 소개, 사업지침서 및 정책정보, 신청 및 안내 제공.
farmbincome.gg.go.kr
지원 금액 및 지급 방식
지원 금액과 방식은 유형별로 다릅니다.
| 유형 | 월 지원액 | 연 최대 금액 (지급 가능한 기간 기준) | 지급 방식 |
| 청년, 귀농·귀어, 환경 농어민 | 15만원 | 약 180만원 (하반기 신청 시 6개월분 / 전체 기간에 따라 차등) | 지역화폐로 지급 |
| 일반 농어민 | 5만원 | 약 60만원 (같은 조건 하) | 지역화폐로 지급 |
지급된 지역화폐는 지급일로부터 180일 이내 사용해야 하며, 사용기간 경과 후에는 자동 환수 절차가 적용됩니다.
이미 지역화폐 카드가 있는 경우 기존 카드를 사용하고, 카드가 없는 경우 공카드 등을 발급하여 지급합니다.


유의사항
지원 대상자 자격이 신청 시점 기준으로 검증되므로, 경영체 등록 여부, 거주 기간, 농업 및 어업 활동 여부, 농외 소득 등이 정확해야 합니다. 지역화폐 사용 기간(180일) 내에 사용하지 않으면 지급된 금액이 환수될 수 있으므로 기한 내 사용을 권장합니다.
상반기 신청을 놓친 농어민이라면 하반기 접수를 통해 신청 가능하니, 주소지 읍면동 또는 온라인 시스템 공지사항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급되는 지역화폐가 지역에 따라 종류(지자체 지역화폐, 수원페이 등)가 다를 수 있으므로, 지역화폐 사용 가능한 가맹점도 미리 확인해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